앞으로는 실물 주민등록증 없어도 휴대전화로 본인 확인을 할 수 있겠습니다. 이달부터 휴대전화에 주민등록증을 저장해 사용할 수 있는 '모바일 주민등록증'이 도입되면서인데요. 오늘 톡톡 뉴스와 상식에서 '모바일 주민등록증'에 대해 알아봅니다.
실물 형태가 아닌 주민등록증이 발급되는 건 지난 1968년 주민등록증 발급 이후 56년 만에 처음인데요. 개인 정보 유출이나 부정 사용을 대비해 블록체인과 암호화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이 적용됐습니다.
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이달 27일부터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17세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요. 읍·면·동 주민센터를 찾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용 일회용 QR코드를
휴대전화 카메라로 찍으면 즉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만약 실물 주민등록증에 IC칩이 내장돼 있다면 휴대전화를 주민등록증에 태그 해서 바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도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주의하실 점은 본인 명의 휴대전화 한 대에서만 발급받을 수 있고, 최신보안 기술 적용을 위해 3년마다 재발급 받아야 합니다. 만약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면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콜센터 등에 신고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효력을 정지할 수 있습니다.
정부는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서 이달 27일부터 약 두 달 동안 세종과 경기 고양시 등 아홉 개 지자체에서 시범 발급한 뒤에 이후 보완점을 개선한 뒤 전국으로 넓혀갈 계획입니다.
톡톡 뉴스와 상식, 오늘은 ‘모바일 주민등록증’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아나운서 최휘였습니다.